레노버 인터넷 연결 안될때, 이것부터 확인해보세요!

레노버 노트북을 사용하다가 인터넷 연결이 안 되면 정말 답답하죠. 특히 중요한 업무나 수업 중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당황스럽기 마련입니다. 레노버 노트북의 와이파이 연결 문제는 드라이버 이슈, 소프트웨어 설정, 하드웨어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경우 몇 가지 간단한 해결책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레노버 노트북에서 인터넷 연결이 안 될 때 시도해볼 수 있는 효과적인 해결 방법들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문제 해결 방법

1. 와이파이 스위치 확인하기

레노버 노트북 중 일부 모델에는 물리적인 와이파이 스위치가 있습니다. 이 스위치가 꺼져 있으면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해요.

  • 노트북 측면이나 키보드 주변에 와이파이 스위치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물리적 스위치가 없다면 Fn + F5 키 조합을 눌러 와이파이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간단한 확인만으로도 많은 연결 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요.

2. 비행기 모드 비활성화하기

의도치 않게 비행기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화면 오른쪽 하단의 알림 영역에서 비행기 모드 아이콘을 확인하세요.
  • 비행기 모드가 켜져 있다면 클릭하여 끄세요.
  • 키보드에 비행기 모드 키(비행기 아이콘)가 있다면 눌러서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비행기 모드는 모든 무선 연결을 차단하므로 반드시 꺼져 있어야 합니다.

 

드라이버 관련 해결 방법

1. 무선 어댑터 활성화하기

장치 관리자에서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가 비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1. Windows + R 키를 누르고 ‘devmgmt.msc’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2. ‘네트워크 어댑터’를 더블클릭하여 확장합니다.
  3.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장치 사용’을 선택합니다.
  4. 이미 ‘장치 사용 안 함’이 표시된다면 이미 활성화된 상태입니다.
  5.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어댑터를 다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2. 드라이버 업데이트하기

오래된 또는 손상된 드라이버가 연결 문제의 주요 원인일 수 있습니다.

  1. 장치 관리자를 엽니다(Windows + R → devmgmt.msc).
  2. ‘네트워크 어댑터’를 확장합니다.
  3.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선택합니다.
  4. ‘자동으로 드라이버 업데이트 검색’을 선택합니다.

또는 레노버 공식 웹사이트에서 해당 모델의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고급 문제 해결 방법

1. 네트워크 문제 해결사 실행하기

Windows에 내장된 네트워크 문제 해결사를 활용해보세요.

  1. Windows 설정을 엽니다(Windows + I).
  2. ‘업데이트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3. ‘문제 해결’을 선택합니다.
  4. ‘추가 문제 해결사’를 클릭합니다.
  5. ‘인터넷 연결’ 또는 ‘네트워크 어댑터’를 선택하고 문제 해결사를 실행합니다.

문제 해결사가 자동으로 문제를 찾아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2. 명령 프롬프트 명령어 사용하기

명령 프롬프트를 통한 네트워크 재설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1.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Windows 검색에 ‘cmd’ 입력 →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다음 명령어를 차례로 입력합니다:
    • ipconfig /release
    • ipconfig /flushdns
    • netsh winsock reset
    • netsh int ip reset c:\resetlog.txt
  3. ‘exit’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종료합니다.
  4.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이 명령어들은 네트워크 설정을 초기화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WLAN AutoConfig 서비스 확인하기

WLAN AutoConfig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확인해보세요.

  1. Windows + R 키를 누르고 ‘services.msc’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2. 목록에서 ‘WLAN AutoConfig’를 찾아 더블클릭합니다.
  3. ‘일반’ 탭에서 ‘시작 유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4. ‘서비스 상태’가 ‘실행 중’이 아니라면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적용’ 후 ‘확인’을 클릭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이 서비스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드웨어 관련 해결 방법

1. 전원 관리 설정 변경하기

전원 절약을 위해 Wi-Fi 어댑터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1. 장치 관리자를 엽니다.
  2. ‘네트워크 어댑터’를 확장합니다.
  3.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4. ‘전원 관리’ 탭을 클릭합니다.
  5. ‘컴퓨터에서 이 장치의 전원을 끌 수 있음’ 옵션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6. ‘확인’을 클릭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이 설정을 변경하면 전원 절약 모드에서도 Wi-Fi 연결이 유지됩니다.

2. 무선 네트워크 수동 추가하기

레노버 노트북이 무선 네트워크를 감지하지 못한다면 수동으로 네트워크를 추가해보세요.

  1. Windows 설정을 엽니다(Windows + I).
  2.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클릭합니다.
  3. ‘Wi-Fi’를 선택한 다음 ‘알려진 네트워크 관리’를 클릭합니다.
  4. ‘네트워크 추가’를 클릭합니다.
  5. 네트워크 이름(SSID), 보안 유형 등 필요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6. ‘자동으로 연결’ 옵션을 체크하고 ‘저장’을 클릭합니다.

이 방법으로 숨겨진 네트워크에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