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느려지고 성능저하? 바이러스 검사하고 해결하기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앱 실행이 지연되거나 화면 전환이 버벅거리는 현상이 나타나죠. 핸드폰이 느려지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불필요한 앱과 파일이 쌓이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가 많아지며, 시스템 캐시가 누적되는 것도 속도 저하의 원인입니다. 폰 속도와 바이러스 관계를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핸드폰 바이러스 감염 징후

핸드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일상적인 사용 중에 나타나는 특정 징후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베터리가 빨리 닳는다면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진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면 바이러스나 악성코드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평소보다 훨씬 빨리 닳게 됩니다.

 

성능 저하

성능 저하도 주요 징후입니다. 노화나 정기적인 마모로 인한 것이 아닌 핸드폰의 속도와 성능이 눈에 띄게 저하되면 악성 코드일 수 있습니다. 앱을 실행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전반적인 반응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 바이러스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사용량 이상 증가

데이터 사용량 증가도 바이러스 감염의 신호입니다. 악성 버그는 핸드폰의 데이터 소스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팝업 광고를 표시할 수 있어 데이터 사용량이 눈에 띄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 휴대폰 바이러스 검사 방법

갤럭시 스마트폰에는 ‘디바이스 케어’ 기능 내에 바이러스 검사 도구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앱 설치 없이도 바이러스 검사가 가능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쉽게 바이러스를 탐지하고 제거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

갤럭시 휴대폰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하려면 설정 앱을 실행한 후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를 선택하고 ‘디바이스 보호’를 누른 다음 ‘휴대전화 검사’를 탭하면 됩니다. 이 과정은 약 5~10분 정도 소요되며, 악성 앱이나 바이러스가 발견되면 삭제 또는 조치 방법을 안내해줍니다.

검사가 완료되면 ‘감지된 보안 위협 없음’과 ‘문제 발견 안됨’이 보인다면 휴대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만약 바이러스에 감염된 앱의 목록이 표시될 경우 앱스 화면으로 이동하여 해당 앱을 길게 누르고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제거해주시길 바랍니다.

 

외부 앱 활용

갤럭시 자체 기능 외에도 전문적인 바이러스 검사 앱을 활용하면 더 정밀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 이런 앱들은 더 넓은 범위의 악성코드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V3 모바일

V3 모바일 시큐리티와 같은 앱은 바이러스 검사뿐만 아니라 보안 점검, 악성코드 검사, 속도 향상 기능까지 제공합니다. 이런 앱을 사용할 때는 먼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후 보안 점검과 악성코드 검사를 순차적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알약M

알약M도 휴대폰 바이러스 검사에 효과적인 앱입니다. 이 앱은 설치된 앱들의 바이러스 검사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 다운로드된 모든 파일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할 수 있어 가장 정확하게 핸드폰을 바이러스로부터 치료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검사 앱을 사용할 때는 ‘설치한 앱’, ‘파일 및 폴더’, ‘불필요한 앱’, ‘클라우드 검사’ 등 모든 항목을 체크하여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부수적으로 속도 향상을 위해 메모리 정리 기능도 활용해보세요.

 

정기적인 바이러스 검사 습관화하기

핸드폰의 보안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바이러스 검사가 필요합니다.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시간을 내어 핸드폰을 관리해보세요.

 

주 1~2회 검사

핸드폰 바이러스 검사는 일주일에 한 번이나 2주에 한 번 정도는 꼭 해주셔야 합니다.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검사를 자동화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갤럭시 휴대폰의 경우 ‘더보기 → 앱 보호 설정’을 클릭한 후 ‘매일 앱 자동 검사’, ‘앱을 설치할 때 자동 검사’를 활성화하면 됩니다. 자동 검사는 폰을 이용 중이라면 작동되지 않고, 충전 중이거나 화면이 꺼져있을 때만 작동되어 이용에 방해되지 않습니다.